ChatGPT
제목 : 네이버 AI 특화 서비스 범위는 ‘대한민국’…“8.15 사명감으로 개발”
작성일 : 2023-08-25 20:08
조회수 : 180
작성자 : KWSEO
https://n.news.naver.com/mnews/article/243/0000049190?sid=101
이코노미스트 2023.08.24
네이버, 한국 맥락 이해하는 AI ‘하이퍼클로바X’ 공개
이코노미스트 2023.08.24
네이버, 한국 맥락 이해하는 AI ‘하이퍼클로바X’ 공개
- 핵심 내용
- 인공지능(AI) 개발에서 중요한 것은 '특화 서비스'로, 하나의 AI가 모든 영역을 아우르는 것은 현재로서는 어렵다.
- 네이버는 최근 '하이퍼클로바X'라는 모델을 공개하였으며, 이 AI는 한국어와 한국 문화/사회의 맥락을 이해한다는 것이 특징이다.
- 하이퍼클로바X는 네이버의 기존 모델인 하이퍼클로바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.
- 네이버는 이 AI의 성능이 구글이나 오픈AI 같은 글로벌 기업의 모델과 비교하여 뒤지지 않다고 확신한다. 또한 한국어 처리 비용 측면에서도 경쟁력이 있다고 강조한다.
- 세부 내용
- 생성형 AI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므로 운영 비용이 크다. 특히 한 명령이나 질문을 처리하는 데 드는 비용이 일반 검색보다 100~200배 더 비싸다.
- GPT-4와 같은 모델을 사용할 때, 언어 처리의 기본 단위인 '토큰'을 기준으로 비용이 발생한다.
- 영어와 한국어의 토큰 처리 방식이 다르다. 한국어는 토큰당 처리 가능한 문자 수가 더 많기 때문에 비용이 더 든다.
- 네이버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이퍼클로바X 모델에서 한국어 데이터를 훨씬 더 많이 학습시켰다. 이로 인해 한국어 처리 비용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다.
-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의 성능이 글로벌 기업들의 AI와 동일하다고 보고, 한국어에 특화된 모델로서의 강점을 강조한다.
- 한국 시장과 네이버의 포지션
- 네이버의 리더들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AI가 국내 시장에 필요하다고 강조한다.
- 네이버는 국내 시장을 대상으로 한 AI 개발에 집중하며, 이를 통해 글로벌 기업들의 AI 서비스에 종속되는 상황을 방지하려고 한다.
- 네이버는 한국 기업의 특성을 강조하며, 한국의 문화와 사회를 이해하는 AI의 중요성을 강조한다.